쯔쯔가무시증은 털진드기를 매개체로 하는 감염병이며, 병원체에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에 물렸을 때 쯔쯔가무시증이 발병될 수 있습니다. 가을은 털진드기알이 부화하는 시기로 알에서 깨어난 털진드기 유충이 사람을 숙주로 기생하기 위해 물릴 가능성이 높아지고 환자가 많이 발생합니다. 증상으로는 물린 부위에 발진, 가피, 발열, 근육통, 오한, 두통 등이 나타납니다. 쯔쯔가무시병의 주요 증상과 치료방법, 예방방법을 꼭 알아두어 쯔쯔가무시증으로부터 우리 몸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쯔쯔가무시증 증상
쯔쯔가무시병은 1-3주 잠복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후 갑자기 증상이 나타나며 발열, 두통, 오한, 기침, 구토, 근육통, 복통 등이 나타납니다. 또한 전신에 발진이 일어나며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가피가 나타납니다.
가피 (검은 딱지)는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생성되며 쯔쯔가무시병 진단에서 가장 중요한 임상 소견입니다. 초기에는 구진, 수포, 궤양 순서대로 나타나며 그 후 검정색 가피로 덮이고 주변에는 붉은 홍반으로 둘러쌓입니다. 가피는 속옷 안쪽, 겨드랑이, 오금 등 피부가 접히고 습한 부위나 배꼽, 귓바퀴, 항문주위, 머릿속 등에 주로 발생하며 쯔쯔가무시병 환자의 50~90% 이상에서 가피가 관찰됩니다. 가피는 가을철 주로 발생하는 양상이 비슷한 질환과 감별하는데 중요한 도움을 줍니다.
발진은 간지럽지 않은 붉은 발진이 몸에서 시작하여 팔과 다리로 퍼집니다. 3~5mm 크기로 나타나며 1-2주정도 지나면 점차 사라집니다.
쯔쯔가무시증 치료 방법
쯔쯔가무시병에 감염되면 감염초기 항생제 치료로 쉽게 치료 가능합니다. 중증이 아닌 경우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7일 정도 치료를 권장합니다. 항생제는 독시사이클린, 테트라사이클린, 아시트로마이신 등을 복용합니다.
쯔쯔가무시증 예방 방법
가을 단풍철 및 가을 수확기여서 야외활동이 많아지고 있는 시기에 쯔쯔가무시증 발병율이 높은 편입니다. 질병관리청에서는 즈쯔가무시병 예방 수칙을 잘 지킬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농작업, 야외활동 시
- 작업복과 일상복 구분하여 입기
- 밝은 색 긴 소매, 긴 바지, 모자, 목수건, 양말, 장갑 등 착용하기
-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에 넣기
- 진드기 기피제 사용하기
- 돗자리 사용하기
- 풀밭에 옷 벗어놓지 않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귀가 즉시 옷 털어 세탁하기
- 샤워하며 몸에 벌레 물린 성처가 있는지,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확인하기
쯔쯔가무시병은 가을철 자주 걸리는 감기와 증상이 비슷하기도 하여 감염 초기에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농작업, 밭일을 하시거나 야외활동을 하신 후에는 반드시 몸을 확인하는 것이 좋으며 위 증상이 나타나면 반드시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INformation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고비 시작 전 : 위고비 소개, 부작용, 요요, 삭센다와 차이점 (7) | 2024.11.02 |
---|---|
결핵이란? 잠복결핵, 결핵 증상, 치료방법, 보건소 무료 결핵검사 (4) | 2024.10.31 |
덱실란트디알캡슐 역류성식도염 위산억제제 효능효과, 복용방법, 주의사항 및 부작용 (4) | 2024.10.29 |
듀락칸이지시럽 변비약 성분, 효과효능, 복용법, 부작용 및 주의사항 (5) | 2024.10.28 |
우리 몸에 꼭 필요한 비타민D, 부족한 원인과 증상, 혈액검사 수치, 비타민D 주사와 영양제 차이점 (4) | 2024.10.25 |